지방쓰는법

지방쓰는법 자세히보기

2025년도 최신 추석 지방 쓰는법

지방의 기본 구성과 예시

항목 예시 및 설명
제목 維新庶孫謹以
혹은 "지방"
고인 호칭 祖考(남) 혹은 祖妣(여), 이름
지역 및 본관 예시: 전주 이씨
작성일자 예시: 2025년 9월 17일
올리는 사람 예시: 아들 홍길동 올림
존칭 고인을 높여 '영령께', '신위 앞에' 등 표기
지방 양식 예시
전통 지방 예시 사진

지방 쓰는 순서와 방법

  1. 상단에 '유신서손근이(維新庶孫謹以)' 또는 '지방'을 표기한다.
  2. 중앙에 고인 호칭(예: 祖考 홍길동 신위)을 쓴다.
  3. 아래에 올리는 사람 이름(예: 아들 홍길동 올림) 및 날짜를 명시한다.
  4. 종이에 검은색 바르게 적으며, 한지 또는 백지 사용을 추천한다.
  5. 지방은 크기 약 15cm×6cm 정도, 차례상에 향로 앞에 세워둔다.

지방 작성 시 실무 팁

  • 고인 성함, 관계, 본관까지 정확히 확인 후 작성할 것
  • 제사 날짜(양력/음력)를 명확히 기재해야 함
  • 검은 먹이나 검정 펜으로 또박또박 적기
  • 지방 종이는 찢어짐 방지를 위해 얇은 한지 사용 추천
실제 작성 예시
김씨 가문(2025년 9월 추석)

  • 위에 "維新庶孫謹以" 기록
  • 가운데 "祖考 김철수 신위"
  • 아래 "아들 김길동 올림, 2025년 9월 17일"

지방 양식별 사례 표

지방 양식명 특징 적용 상황
전통 지방 한문 사용, '維新庶孫謹以' 기재 명절 차례/조상 제사
간이 지방 한글, 현대식 이름 표기 가능 가정용, 간편 차례
불교식 지방 불교용 존호 및 경문 추가 불교 가정 제례

자주 묻는 질문

Q1. 지방 쓸 때 한글로만 써도 되나요?

최근에는 한글 지방도 정성만 있으면 무방합니다. 가문의 원래 방식에 따라 한문/한글 혼합이 모두 가능합니다.

Q2. 지방의 크기, 종이 선택 기준은?

대개 15cm×6cm 내외로 하며, 한지나 백지가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. 찢어짐이 적은 것이 좋습니다.

Q3. 본관, 올리는 사람 관계 꼭 써야 하나요?

가문의 내력과 명확한 기념을 위해 본관·관계·성함을 정확히 기재하는 것이 권장됩니다.

더 많은 정보보기

더 많은 소식을 가장 빠르게 들을 수 있는 "정보안내" 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수시로 관련 정보를 확인하실 분들은 지금 바로 "소식안내"카카오 채널을 추가하세요!